Jaeeun Jeon
11/07
11/28
November
Dates : November 7 - 28, 2020
( Due to COVID 19 we will not have an opening reception. )
Exhibition Venue : 2GIL29 GALLERY
Opening Hours : 10 am - 7 pm
Tuesday to Saturday (closed on Mondays & Sundays)
Jaeeun Jeon
Les Lieux Privés
2GIL29 GALLERY presents Jaeeun Jeon’s solo exhibition ‘Les ieux Privés’ from the 7th to the 28th of November. The artist will be showing paintings involving hand embroidery and textile work using fabric and threads.
Therefore, the artist’s work is a result of contrasting or similar materials, patterns and layers going through time. Moreover it is a recombination of pieces of memory in diverse forms. Perhaps, it is time travel to the past. The love towards her unrealistic memories of dreamy spaces and her present life is implemented through hand sowing which is an analogue behavior. The signs that implicate architecture, visualizes the expansion and shrinkage of space. Moreover the unify of paint, fabric, and threads create a clean and refined atmosphere in the work. Through feminine touch, the object works made in fabric and threads show the artist’s outstanding sensibility and sophistication. Her works can be extremely private but the beautiful harmony of time flow and through expansion and reduction of time and space guides the audience into an empathic space. This solo exhibition shows the overlap between hand stitching and painting. According to the artist, ‘Les ieux Privés’ means a certain space that is connected to herself in an ontological way which involves time and her childhood. Layers of different colored paint and fabric create a familiar sense of space and this represents a piece of the artist’s childhood memory. A corner of a boiler room which comforted a teenage girl going through adolescence, and old stairs that made joyful footsteps even happier remains in the painting as abstract signs, marks, and history of paint. Previously experimented ‘U’ shaped ornaments are expanded and adds power to the story of spaces.
Artist Bio
Jaeeun Jeon(b.1972) is an Artist based in Seoul, graduated and mastered Painting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er first solo exhibition was in 1998. She is noticed as an Artist who makes paintings using fabric, needles , and threads. The exhibition at 2GIL29 GALLERY will be her 7th solo show and she has attended numbers of duo shows and group shows. The artist calls her unique ‘u shaped’ architectural ornaments ‘moving art’. The ornaments are filled with her one and only sensible touch which makes it unreplicatable. The variation of diverse patterns, texture, and colors are a continuation of her paintings. She attended the 2018, 2017 Craft Trend Fair, Shanghai Art fair, Internationale Handwerksmesse fair in Munich Germany. Also she has done diverse textile craft book publication, magazine projects, and exhibition collaboration with craft related companies. Jaeeun Jeon has been creating her own sculptural language through her feminine touch and ambience.
Jaeeun Jeon 전재은 A Wardrobe With A Diary 2020 Mixed Media 91x117cm
전재은
사적인 장소들
이길이구 갤러리는 오는 11월 7일 부터 28일까지 ‘Lieux Privés 사적인 장소들’ 이란 전시명으로 전재은 작가 (b.1972) 의 초대전을 마련한다. 작가는 화면에 회화와 바느질을 병행하거나 천과 실로만 이루어진 섬유작업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는 그녀의 신작으로 회화를 포함한 오브제 작품 50여 점을 한자리에서 감상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이번 개인전은 바느질이라는 행위 자체가 그림과 맞닿는 접점을 보여준다. 작가가 말하는 ‘사적인 장소들’이란 어린 시절 특정 공간과 시간에 얽힌 이야기로 특히 자신에게 존재론적으로 연결된 공속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 곳을 의미한다. 층위가 다른 물감과 천들이 이룬 표면은 어딘가 익숙한 공간감을 드러내는데 이것들은 작가만이 간직한 어린 시절 기억의 파편들이다. 어린 시절 작가에게 벗이 되어준 2층 다락방 공간이라든가, 사춘기 소녀에게 혼자만의 시간의 친구가 되어준 컴컴한 지하 보일러실의 한 귀퉁이, 또는 기분 좋은 날 경쾌한 발걸음을 한층 돋보이게 만든 양옥집 2층의 낡은 나무계단 등이 그림 속에 추상적인 기호나 물감의 흔적으로 존재한다. 기존에 탐구했던 ㄷ자 형태의 오너먼트들 또한 더욱 확장되어 장소에 대한 이야기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따라서 작가의 작업은 서로 상반되거나 비슷한 요소의 소재와 패턴, 레이어의 층위들은 시간을 축적해서 얻어낸 결과들이고 기억의 조각들 속에서 재조합이 되어 다양한 형태로 안착되어 나오고 있다. 과거로의 여행이자 비현실적이고 몽상적인 옛 공간의 기억들을 지금의 현재와 함께 안고 살아가는 자신의 삶을 사랑하는 작가는 바느질이라는 아날로그적인 행위를 통해 적극 구현하고 있다. 화면에 등장하는 여러 건축물을 암시하는 기호들은 공간의 확장과 수축을 시각화한다. 여기에 물감과 천, 실과 뒤섞여 세련되고 깔끔한 분위기를 상당히 멋스럽게 보여준다. 게다가 여성 특유의 감각으로 만들어진 천과 실로 이루어진 오브제작업은 완벽하고도 세련된 작가의 탁월한 감각과 풍성한 기량을 거느리면서 보는 이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한다. 작품에서 보이는 작가의 장소는 지극히 사적이지만 삶의 시간들이 겹겹이 쌓여 하모니를 들려주는 듯한 아름다움들은 우리 모두에게 시공간의 축소와 확장을 통해서 함께 공감할 수 있는 기억의 장소로 이끈다.
작가 소개
전재은 작가 (b.1972) 는 서울 출생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1998년의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꾸준히 회화작업과 섬유오브제 작업을 병행하면서 우리에게는 천과 바늘, 실로 그림을 그리는 작가로 친숙하다. 이번 이길이구 갤러리에서의 개인전이 일곱번째이며 다수의 2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했다. 움직이는 예술작품이라고 명명하는 그녀의 세밀하고 세련된 감각으로 채워진 ㄷ자 모양의 건축학적 오너먼트는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명실공히 그녀만의 상징적 작품으로 유명하다. 자유롭게 변주되는 패턴과 질감, 컬러 등은 회화작업의 연장선으로 많은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2017년, 2018년 공예 트렌드페어와 상하이 아트페어, 독일 뮌헨 국제 수공예 박람회 등에 참여한 바 있으며 각종 섬유크래프트 책 출판과 매거진과의 프로젝트 협업, 기업과의 전시 협업작업을 왕성하게 진행하면서 여성 특유의 섬세한 감성을 겸비한 조형세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예술가이다.
Jaeeun Jeon 전재은 Small Room 2019 Mixed Media 61x91cm
Jaeeun Jeon- Les Lieux Privés
Youngtaek Park (Kyonggi University Professor, Art Critic)
Jaeeun Jeon’s recent works comprises two dimensional paintings and sculptural works using threads. In her painting plane, lines create geometrical shapes and thick lump of paint resemble tangled threads. Moreover, paint drops remind us of floating clouds and small pebbles. The plane of her paintings are collages of many layers of different colored paint and brush marks generating diverse languages. Her arrangement of Individual elements results in a beautiful landscape image. Each of the elements are not representational, however they act as symbols or signs for diverse purposes. In a rectangular form, the overlapping layers of planes create virtual spaces. Individual objects/fabric which are the components of planes, stick onto each other and erase sharp lines and create round edges. This shows the playful history of the artist’s brush strokes. Inside or outside of the noticeable rectangular shape, unreadable evidence of paint is splattered. I enjoy the small, resilient, and careful touches. Without form and any representation, the smudged brush marks fill the ground like piled snow. This resembles Phillip Guston’s light but dense brush strokes which accelerates our senses. The fabric and threads attached on the plane are amplified versions of the artist’s brush strokes.
Drawing and brushstrokes unites with the fabric’s fixture and knitting. The plane as background, small elements on top form a landscape. Divers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erials replace the whole. Small pieces of fabric are placed all over the painting as if it is plugging holes. The obvious traces of thread marks resembling scars, seems like it is filling up life’s thirst and shabbiness with care. Rectangular form of the canvas feels cold and silent. However, the fabric, generative plane not only repeats the square shape, it smudges the sharp edges with it’s soft characteristic. Round paint marks and brush strokes play the same role. Objects(fabric), threads, paint, and text also desire to show it’s path of evidence in it’s own way. The parasitic paint fabric, and threads on the plane find it’s own way to survive in the rectangular form. One example is the long leftover threads dangling across the floor gently.
These objects are originally attached to the plane, however parts of these objects escape from the rectangular frame and live both in and out of the frame. The dangling threads are like fingers pointing it’s desire to go back to its own level.
Jaeeun Jeon’s works are close to assemblage of flexible paint, resilient brush strokes, and textured threads and fabric. Her works are a combination and overlayers of two and three dimensional objects which are drawn, made, colored, and hand embroidered. Her femenin touch and sense of craftsmanship results in a hanging sculptural work, which is a collage of paint, fabric, and embroidery. Her work is made with soft, flexible, colorful and textured fabric which shows the path of time flow. Her works can be categorized as Bricolage due to diverse material selection. Moreover, her works start with a clue or key fabric and overlays with random and accidental fabric. Due to continuous repetition of this process results in some kind of form. It is in its reproducing and multiplying process. This process does not generate an image or indicates something. It is also hard to call the process imitating. However, her working technique shows generosity to contact and combinations of inanimate objects.
Jaeeun Jeon mentioned that her work attempts to visualize ‘shapeless words and thoughts’.
Which means her process of attempt in visualizing the unseen is her work itself. The artist gathered objects that were disappearing, fading and finally dying. These objects have the same quality of human’s words and emotions. Elements that flow and float, a component that is heavy or light for no apparent reason, and unfortunate things that were burnt down to ashes. The artist attempts to give these invisible object forms and shapes and attempts to connect the dots among them. Moreover, she continues to build homes for the non visual matters in her most recent works as well. Therefore, small units of paint, brushstrokes, pieces of fabric, words which are individually present represent private places, disappearing voices and flowing emotions.
The most recognizable piece among recent works is an unfamiliar structure that is only made out of fabric. She overcame the shadows of her past works and her outstanding production is hard to categorize or regulate. The form of this work is a pile of random abandoned pieces of fabric and cloth stuck on the wall. This work of Art inevitably needs a wall space. Pieces of fabric that are forming this object, seems if it has been taken off from clothing and also resembles bags and scarves. Perhaps, it will be possible for people to cover or drape around their body. It is a textile collage which has no relation to the existing toolability. Pieces of fabric that seem to be instinctively patched together are like different flowers and plants that have its own beauty, color, and texture. Floppy threads and textiles pointing to the ground have a variable and formless quality. The destiny of the work changes as soon as it is hung up. It is the spontaneity of textiles following the provision of nature. Through the artist’s hands and the condition of the exhibition space, these objects receive their own diverse landscape, unpredictable and unstablizable form, and the readymade object’s original characteristic is encountered unconsciously and in a surreal way. An unpredictable aesthetic is created. Therefore, the way it is hung up, the moment when it is on the wall, how it is presented, and the uncertainty becomes the work’s faith. The fact that this work of Art does not have a physical form and depends on external forces, following the invisible power creating curves and it’s wriggling existence resembles a living creature. Therefore, the piece of work seems to be related implicitly to supernatural behaviors, hoping to fetch souls from objects in a pantheism point of view.
Jaeeun Jeon 전재은 Nostalgic Yard 2020 Mixed Media (ornament) 202x35.5cm
전재은 - 사적인 장소들
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
전재은의 근작은 평면회화와 실을 이용한 입체작품으로 이루어졌다. 회화는 화면 안에 직선으로 이룬 기하적인 면, 그리고 실타래와도 같은 물감의 덩어리들이 구름처럼 떠 있거나 작은 돌멩이처럼 응축되어 있다. 여러 층위를 지닌 색면들이 겹겹이 쌓여있고 다채로운 표정을 짓는 물감, 색채, 붓질이 콜라주 된 화면이다. 그 개별 요소들의 배열과 관계가 모종의 풍경을 이룬다. 표상화를 욕망하지 않으려는 이 그림의 요소들은 제각기 이런저런 부호처럼 떠돈다. 사각형의 화면/틀 안에 옹기종기 모여 있는 또 다른 면들의 겹침은 작은 공간을 가설하기도 하고 독립된 물체/천으로 달라붙기도 하고 날카로운 경계를 지우고 둥글둥글하니 그저 타원형으로 미끄러지는 붓질의 궤적을 장난스럽게 안겨준다. 인지할 수 있는 사각형의 구조물 바깥 혹은 내부로는 규정하기 어려운, 판독할 수 없는 물감의 흔적이 몰려다닌다. 나는 이 자잘한 붓질, 탄력적이고 조심스러운 붓질의 맛들을 즐긴다. 소박하게 문질러지는 붓질들은 무의미하게, 무형상으로 바닥을 채운다. 쌓이는 눈처럼 고인다. 그것은 흡사 필립 거스톤의 붓질과도 같은 오밀조밀한 감각을 촉각화 시킨다. 이 붓질이 좀더 증폭된 것은 화면에 달라붙어 자존하는 천과 실이다.
드로잉과 붓질이 바느질과 천의 깁기, 뜨개가 고루 섞인다. 작은 조각들은 면을 바탕으로 그 위에 차곡차곡 모여 풍경을 만든다. 전적으로 물질들의 다양한 표정이 모든 것을 대신한다. 작은 천들은 구멍을 막고, 빈틈을 채우듯 화면 여기저기에 자리하고 있다. 생생하게 드러나는 바느질 뜸 자국은 상처와도 같이 부착되어있거나 궁핍하고 초라한 생의 결락들을 정성껏 기워나가는 듯도 하다. 그것은 화면 위에 생성적인 또 다른 면, 사각의 틀이자 침묵으로 절여진 캔버스 피부의 격자 형식을 반복하면서도 동시에 부드러운 천의 속성으로 그것들의 날카로움을 은근히 문질러준다. 타원형의 물감, 붓질도 그런 맥락이다. 오브제(천)와 실, 그리고 물감과 문자들이 화면 위에서 또 다른 자기 존재방식을 방증하는 것도 같다. 표면에서 기생해나가는 물감과 천, 실은 절박하게 매달려있는 형국을 얼굴처럼 드러내거나 자기 삶의 행색을 누수 한다. 특히 천을 박음질하면서 남겨진 실들은 길게 늘어져 바닥을 향해 조심스레 흔들린다. 그것들은 격자형에서 빠져나온 것들이자 화면이란 피부와 그 바깥을 동시에 살아내고 있다. 중력이 법칙으로 인해 아래를 향해, 수평으로 돌아가려는 의지를 손가락질처럼 보여준다.
전재은의 작품은 물감의 유동성, 붓질의 탄력, 촉각적인 실과 천으로 이루어진 아상블라주 에 가깝다. 평면구조물과 3차원적 오브제가 공존하고 그리기와 만들기, 칠하기와 바느질하기가 구분 없이 겹쳐있다. 여성의 수공예적인 경험이 무척 감각적으로 올라온 화면은 피부에서 이루어지는 물감, 천과 바느질로 이룬 콜라주이자 벽에 걸리는 조각적인 작업이기도 하다. 특히 부드럽고 유연하며 각종 색채와 질감, 피부의 변화상을 간직한 천/섬유만을 이용한 오브제작업은 조각인 동시에 여러 다양한 재료들의 브리콜라주에 해당한다. 또한 이 작업은 단서나 실마리와도 같은 하나의 천에서 출발해 우연적이고 우발적으로 여러 천, 실들과의 조우와 겹침, 잇대어짐을 반복하면서 연쇄적으로 무엇인가 만들어나간다. 생성적이며 증식 중이다. 그것들은 이미지를 형성하기 보다는, 무엇인가를 특별히 지시, 재현하기 보다는 그저 말 없는 물질들의 접촉을, 예기지 못한 결합을 그 물질들을 보듬는 배려를 드러낸다.
전재은은 자신의 작업이 ‘형상 없는 말과 마음’들을 가시화시키려는 시도라고 말한 바 있다. 눈으로 볼 수 없고 시각화의 대상이 아닌 것들을 보이는 것으로 만들려는 지난한 시도가 자신이 작업이란 얘기다. 작가는 오래 전부터 사라지는 것들, 소멸되고 죽어버리는 것들을 조심스레 불러 모았다. 인간의 말과 마음과도 같은 것들, 그러니까 흐르고 떠다니는 것들, 그렇게 실체 없이 마냥 가볍고 마냥 무거운 것들, 가라앉는 것들이자 휘발되어 버린 것들에 안타깝게 몸을 지어주고 집을 만들고 그것들끼리의 관계를 연결해 주려는 몸짓들은 여전히 근작에도 자리한다. 따라서 작은 단위의 물감이나 붓질, 천 조각, 단어들은 제각기의 존재나 사적인 장소를, 소멸되는 음성과 떠다니는 마음들을 은유한다.
근작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전적으로 천으로 이루어진 낯선 구조물이다. 익숙한 작업들의 그림자를 지우고 물질들의 탁월한 연출로 빛나는 그것을 무엇이라고 규정하거나 지시할 수 없다. 그저 조각난 천 조각이나 헝겊들을 무작위로 모아두었거나 묶어서 벽에 부착한 것이기도 하고 작업과 천 사이에서 머뭇거리기도 한다. 벽을 불가피하게 필요로 하는 이 오브제는 의상의 어느 한 부분에서 추출한 듯도 하고 가방이나 목도리 등을 암시한다. 그러나 분명 실용적 차원의 물건으로서의 기능에서는 벗어나 있다. 물론 몸에 걸치거나 드리울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분명 기존의 도구성과는 무관한 천의 콜라주다. 즉흥적으로 덧대거나 이어진 듯한 천 조각, 자신들의 인연에 따라 그렇게 붙어나가는 섬유들은 저마다 피는 꽃이나 식물 마냥 제각기 아름답고 기묘한 색감과 질감을 매력적으로 보여준다. 바닥을 향해 늘어진 천, 실들은 가변적이고 무정형의 형태를 지니면서 걸리는 순간의 상황에 자기 몸을 맡긴다. 자연법칙에 순응하는 섬유들의 자발성이다. 작가의 손길에 의해, 전시공간의 조건에 따라 이 물질들은 제각기 다양한 풍경을, 예측할 수 없고 고정시킬 수 없는 형상을, 기존 레디메이드들의 본래 지닌 색과 물성을 무의식적이고 거의 초현실적으로 조우시킨다. 그로인해 예기치 않는 우연의 미학이 만들어진다. 그로인해 그때그때 거는 방법에 따라, 벽과 붙는 순간, 또는 사람의 몸에 닿는 순간, 어떻게 걸리느냐의 상황에 따른 불확정성을 자기 운명처럼 거느린다. 본래 제 몸을 지니기보다 외부의 힘에 의해, 보이지 않는 힘에 순응해 자유로이 굴곡을 만들며 꿈틀거리는 이 존재는 생명체와도 같다.
Jaeeun Jeon 전재은 Redish Brown Wardrobe 2020 Mixed Media 100x180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