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028_edited.jpg

Qwaya

12/18
   1/29

December 2021
    /January 2022

Qwaya |  About the attitude

Exhibition Period:    December 18, 2021- January 29, 2022

Exhibition Venue:     2GIL29 GALLERY   

                                        2GIL29 Bldg. 35, Gangnam-daero 158-gil, Gangnam-Gu, Seoul 06034 Korea | 82 2 6203 2015 
Viewing time:            10am - 7pm  Tuesday to Saturday (closed on Monday, Sunday), Admission: Free

013.jpg

Qwaya  우산 씌워주기  Put an umbrella for her 2021 Oil on Canvas 60.5 x 73cm © 2GIL29 GALLERY 

Qwaya | About the attitude

2GIL29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a solo exhibition <About the attitude> by Qwaya, from 18th Dec, 2021 to 29th Jan, 2022. Qwaya usually visualize artworks like writing everyday diary. Fragmented information recorded in inner side, it is recovered the objectivity through representative images captured by intuition, and it is also presented as new form of images. This exhibition shows various stories with lively embracing attitudes that artist felt and accepted from his surroundings, human and objects, so it concerns more about artist’s secretive and embodied thoughts beyond the record of moment. This topic is perhaps our appearance about the utopia, that our small and big relationships in our daily life with Covid pandemic situation. 

As Qwaya’s works captured our daily life, audience can know the contents intuitively through the special situation, human figure, still life elements. What Qwaya’s artworks make more interesting is, our daily appearance which can be boring but it comes new and unfamiliar scene. His works are familiar at first glance, but if you observe closely, the composition of the space, the person’s gaze, the direction of the body, and the color scheme create a very unrealistic and dreamy atmosphere apart from the realistic subject matter of everyday. 

In particular, the character in the artwork attract the viewer’s attention, but he or she actually closed their eyes and not gaze the audience. This formation blocks the other’s gaze and maintain a distance. In addition, Qwaya’s unique style, such as the expression of the greenish skin color, one tone color, and relentless free brush stroke, are soon stimulate the audience’s subjective imagination and sense. In other words, Qwaya’s works share artists everyday first and reflect our daily attitude. Finally, it makes us to consider our everyday and surrounding, and lead us to engrave the value of art in our life. 

Kiaf SEOUL 2021, held in October 2021, Qwaya’s <Ordinary people> series works were all sold out, so it was a place to vividly see that Qwaya’s artworks have loved and supported by numerous contemporary art lovers. Our lives can be dull easily for personal reason, within social roles and norms, or within the framework of everyday life. However, there is definitely the universal value of beauty here, and on the premise of this daily aesthetics, 2GIL29 GALLERY’S <About the attitude> exhibition that runs at the end of 2021 and beginning of 2022, will illuminate our daily life and human portraits newly, and it can be a catalyst that gives fresh and warm impression. 

Qwaya (B. 1991) 
Under the name of Qwaya that means a contemplation in the night and silence. After he graduated from Sangmyung University with his Fashion and design degree, and then in a short span of time, even he did not educate in academic art field, he has received good responses with unique art world of his own while having engaged in more than 15 group and 40 solo shows and curatorial exhibitions. Moreover, not only fine art realm but also he has been presenting his artistic outcomes while having collaborative projects with conglomerates and doing numbers of album art works. His career shows beyond the art genre, and his artworks are usually sold out in recent his exhibition and art fair as one of the rising artists. His works like daily record dairy draw also solitary and quite atmosphere like his name. The critically and publicly acclaimed exhibition <Ordinary people> in 2020 2GIL29 GALLERY, what he was focused on was every day and daily life that seems not valuable, but through dreamy expression of human, Qwaya’s works represent motific art to audience can be stimulated thoughts and recall their lost time. 

030.jpg

Qwaya  별을쏘다  shoot the stars  2021 Oil on Canvas 73 x 91 cm © 2GIL29 GALLERY 

콰야 | 태도에 대하여

2GIL29 GALLERY 이길이구 갤러리는 12월 18부터 1월 29까지 콰야(B.1991)의 개인전 <태도에 대하여 (About the attitude)> 를 선보인다. 작가의 작업들은 매일매일 일기를 쓰듯 그린 그림이다. 내면에 기록된 파편화된 정보들은 직관이 포착해낸 표상(表象)적 이미지들을 통해 대상성을 회복하고 새로운 형상으로 제시되는데, 이번 전시는 찰나의 기록을 넘어 작가를  두르고 있는 주변의 좀 더 내밀한 이야기와 작가의 구체화된 생각들이 더욱 생생히 수용되어 포용하는 태도, 사람이나 사물 등에서 느끼고 받아들이는 것에 대한 이야기들이다. 어쩌면 이 화두는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팬데믹 시대에서 일상의 삶에서 맺게 되는 크고 작은 관계들의 이상향에 대한 우리들의 모습일 지도 모른다. 
누구나 지나 보내는 일상을 포착한 만큼, 작품명을 확인하지 않아도 화면에 연출된 특정 상황과 그 속에 등장하는 인물의 모습, 그리고 인물을 둘러싸고 있는 정물적 요소를 통해 작품이 내포한 내용을 직관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우리의 모습이 새롭고 낯선 장면으로 다가온다는 것이다. 그의 작품은 언뜻 보면 친숙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공간의 구도와 인물의 시선 처리, 신체의 방향, 색감 등이 일상이란 현실적인 작품 소재와는 별개로 매우 비현실적이고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특히 작품의 등장인물은 관람자의 시선을 끌어당기지만 눈을 감고 있거나 관람자를 향해 응시하고 있지 않다. 이는 타자의 시선을 차단하여 거리감을 유지시킨다. 또한 인물에게 더해진 청록색 계통의 피부색 표현이나, 배경과 사물 등, 모든 등장 요소가 한 톤으로 채색된 특징, 거침없이 자유분방한 붓 터치와 같은 작가만의 고유한 양식은 이내 감상자의 주관적인 상상력과 감각을 자극한다. 말하자면, 콰야의 작품은 감상자가 작품을 두루 관찰하며 일차적으로 창작자의 일상을 교감하고, 이들이 일상을 대하는 태도를 조명한다. 그리고 마침내 자신을 둘러싼 일상적 영역을 고찰하게 만들어 예술의 가치를 삶에 새기도록 이끈다.

현재,  콰야의 작품이 수많은 예술 애호가들에 의해 커다란 사랑과 지지를 받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 할 수 없다. 우리의 삶은 개인적 이유에서 또는 사회적 역할과 규범 안에서, 혹은 일상의 틀 안에서 쉽게 무미건조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분명 아름다움이라는 보편적 가치가 자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일상의 미학을 전제로 그가 나누는 그림 이야기는 매우 흥미롭다. 이번 이길이구 갤러리의 <태도에 대하여 (About the attitude)> 전시는 2021년의 마지막과 2022년을 여는 전시로 평소 지나 보내던 일상과 인간의 초상을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우리의 삶에 신선하고 따뜻한 감동을 선사하는 촉매제가 되어줄 것이다. 


 

 

작가 소개
본명은 서세원. 콰야 (B. 1991) 작가는 상명대학교에서 의류디자인을 전공한 아카데믹한 정규교육을 받지 않은 작가로서, 다듬어지지 않은 자유분방한 필치로 독특한 작품 세계를 선보이며 큰 호평을 받았다. 졸업 후 빠른 속도로 크고 작은 그룹 기획전에 초대되어 독특한 작가 세계로 호평을 받는 한편, 앨범 커버 재킷 및 여러 상업 프로젝트에서 활약하며 대중의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다양한 장르로 예술의 경계를 넘어 전방위적인 활동반경을 보여주며 최근 미술계에서 전시작품들이 거의 완판 되는 쾌거를 이루는 등 최근 한국미술계에서 제일 주목받는 신진 작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히고 있다. 매일매일 일기를 쓰듯 그림을 그리는 그의 작업은 밤을 지나는 시간, ‘과야(過夜)’와 조용한 탐색 ‘Quiet, Quest’의 머리글자 Q에서 얻어진 ‘콰야’라는 이름처럼 침묵과 고독의 밤이 담겨 있다. 특히 평단과 대중의 큰 호응을 얻었던 2020년 이길이구 갤러리에서 선보인 <보통의 사람들>에서 그가 주목한 것은 ‘일상적이고 평범해서 가치가 없을 것 같은 매일의 일상이 담긴 보통의 날들.’ 그는 표정을 읽을 수 없는 몽환적인 표정을 띤 인물들을 통해 보는 이의 사유를 자극하며 잃어버린 시간을 거슬러 오를 수 있는 동력이 되는 작업을 선보였다.

033.jpg

Qwaya 콰야 Thought before going to sleep 자기 전에 든 생각들 2021 Oil on canvas  60.5 x 73 cm © 2GIL29 GALLERY 

Qwaya |  The Forces of Lyricism Given by Narrative Paintings 

Young Taek Park (Kyonggi University Professor & Art Critic), 

 

Qwaya is a penname. There are some artists who use pennames or stage names in lieu of their given names. In the East, there were names called ho (호, 號) to refer to someone in a familiar way. Calligraphers and painters were usually referred to by ho, or what can be called pennames. A ho reflects one’s wish, purpose, and will. The pennames we are well aware of are Gyeomjae, Danwon, Hyewon, and Chusa. Kim Jeong-hui is known to have had as many as 503 ho, or pennames.

 

Qwaya is said to have referred to ‘night speculation’. In Qwaya’s paintings, there are many scenes suggestive of night. Dark, deep blu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a square window frame, shining stars frequently emerge as yellow round masses, or a little lighting fixture gently illuminates a room. Blue and yellow are typical of Qwaya’s palette. The hues feel softly wet like artificial lighting. These subdued shades of blue and yellow give his paintings an emotion and mood. Pastel tones give his paintings a romantic, lyric, and emotional feeling. The reason why Qwaya’s paintings have an appeal to the general public is their comfortable, warm emotions and easy, kind accounts. I see a young man’s portrait, which seems to be Qwaya’s self-portrait. It was used for the Korean indie rock band Jannabi’s second album Legend, and considerably effective in terms of color and atmosphere. Its form looks unstable while its sense of color is conspicuous. His use of stark color contrast between intense blue and deep yellow is quite impressive with its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a figure. I consider this painting an eloquent representation of melancholic, innermost, and complex emotions. Qwaya’s paintings are on the whole a manifestation of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with audacious brushstrokes and psychologically indicative lines, while capturing the eyes gazing at something, pursed lips, and a depressed look.

 

Qwaya has worked on a wide array of pictures after studying fashion design. He has been involved in album covers, graphic work, webzines, and book illustrations. He is an artist-cum-visual image producer whose paintings were received by a multitude of fans when posted on social networking sites like Facebook. Art has changed in the advent of artists like Qwaya.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way an artwork communicates with viewers, the formation of the audience, the consumption aspects of artworks, and the territory of the art market. It is worth noting that both the producers and consumers of artworks have undergone some epoch-making changes, as the structure and boundary of the preexisting art scene has collapsed. Qwaya’s presenc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spects of such changes.

 

Qwaya has painted by making strokes with a brush or in oil pastels on unprimed canvas. He seems to lay stress on encapsulating his momentary sentiments in his paintings. He tends to paint spontaneously and intuitively on the canvas without modification so as to heap up his vivid emotions and to be honest with his sentiments. Oil pastels are adjusted somewhere between a flexible brush and his hand attached to his body. His work seems particularly marked and defined by instinctive painting, instrumentality that is convenient to describe a variety of images floating in his mind and spirit, and the coexistence of painting and writing in the same space. Oil pastels analogous to crayons we handled skillfully as a child is a medium very easy to apply and treat. Qwaya is also doing paper work since paper or panels can be more effective in using oil pastels than canvas.

 

A painting was initially either a story or a book. A painting is a visible condensed sentence or a determined image. In contemporary art, a painting subordinated to literature seeks its own self-sufficient world. This forecloses literary factors from art, erases narratives, and drives the content out of its doma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art was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art and literature and explore art’s own form and material elements. This was also to confirm the physical properties of a given canvas, paints, brushstrokes, and colors and seek their relations. With this, numerous narratives and individual feelings cannot help but float out of the scene. Viewers were also marginalized from the painting. Since modernism was in decline, narratives, emotions, and romanticism has consistently seeped into paintings in contemporary art. This is nothing new. Painting today plays the role of a mirror reflecting an individual’s diverse stories, his or her inner self, and their spirit couched in various forms and expressive idioms. The problem is how to embody painting’s taste, quality, and intrinsic content.

 

Qwaya extracts various content for his paintings from his everyday life. He touches on narratives that hark back to his childhood innocence and memories or a romantic feeling between a young man and woman. His paintings all have literary titles. The title itself is like a poetic line, entailing a brief sentence. These narrative paintings make it easy for viewers to appreciate and understand. These have us consider the problems of trying to stay in a familiar story and complying with conventional perceptions.

 

A child with a particularly large head, ears, and hands frequently appears in his paintings. The child has a book in his arms. Children look at a titled frame or look out at the moon and stars outside the window. A child is resting his chin on his hand, lost in a reverie. A big cat that is with him in his studio appears in his painting. A man and a woman have a date, drinking under lights while human face-sized flowers bloom in a little pot. All these works have common, quotidian subject matter as well as unconsciously emerging images. Qwaya improvises and interprets all of these in his paintings. His urgent brushwork brings about some momentary feelings while his colors evoke a hypnotic, emotional atmosphere. These paintings rendered in this way feel comfortable and smooth.

 

The artist expressed his intent to put more emphasis on factors he tries to convey when he talked about his work’s content and technical hallmarks. He seems to look upon communication as important. Qwaya seems capable of producing narrative paintings pertaining to considerably emotional, romantic stories. The problem is how such stories appear formatively solid and pictorially unique. In recent work Qwaya treats dense surface texture in partially mild pastel tones and diverse images in more matured iconographic pictures. An example is a little child holding a book whose attractive section is completed in a very high quality. The problem is how he will be able to deepen this taste.

콰야 | 야기 그림이 주는 서정의 힘

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

콰야는 예명이다. 작가들이 본명 대신 필명, 혹은 예명을 쓰는 경우가 더러 있다. 동양에서는 호號라고 해서 본명이나 자 외에 허물없이 부르기 위해 그 대신 쓰는 이름이 있어서 서화가들의 경우 예외 없이 그 호로 불렸다. 사실 호/문자에는 개인의 소망이나 목표와 의지가 반영되고 있다. 겸재, 단원이나 혜원 혹은 추사 등이 우리가 익히 알고 호의 예다. 김정희의 경우 호가 무려 503개나 되었다고 전한다. 

콰야는 ‘밤의 사색’이란 뜻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콰야의 그림에는 밤을 암시하는 장면이  유난히 많다. 사각의 창 틀 안에 짙고 어두운 블루 색상이 칠해져있고 그 사이로 짙고 둥글게 뭉친 노란색덩어리로 빛나는 별들이 빈번하게 등장하거나 방안을 부드럽고 은은하게 비추는 작은 조명기구가 출현한다. 파란색과 노란색 주조를 이룬다. 전체적인 색상도 인공의 조명으로 인해 은은하게 적셔진 느낌이다. 그 같은 색조는 그림을 상당히 정서적으로, 일종의 ‘무드’가 있는 것으로 만드는 편이다. 파스텔 톤으로 조율된 색채가 그림을 낭만적이면서도 서정적이고,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그림을 성형하고 있다. 바로 이런 편안하고 따뜻한 정서를 안겨주는 이 쉽고 친절한 콰야의 그림이 많은 대중들에게 어필하는 이유인 듯하다. 나로서는 잔나비의 2집 앨범 <전설>의 커버 작업인 인물 그림, 흡사 콰야의 자화상으로 보이는 듯한 젊은 남자의 초상이 색채와 분위기면에서 상당히 효과적인 그림이라고 본다. 형태는 불안해 보이지만 색채감각이 돋보이는데 강렬한 청색과 진노랑의 대비가 어우러져 인물의 심리묘사가 잘 드러나고 있다. 대담한 붓질과 일정한 방향성을 거느리면서 심리적인 반향을 지시하는 선들, 어딘가를 응시하는 시선과 오므린 입술, 침울한 표정 등에서 우수 어리면서 내밀하고 복합적인 감정 표현을 잘 전달하는 그림이라는 생각이다. 콰야 그림은 전반적으로 이러한 정서, 심리를 표상화 하는 차원에 놓여있다.

         

콰야는 패션디자인을 전공한 후 앨범 커버 작업, 그래픽작업, 표지작업, 웹진 작업, 책 일러스트작업 등을 해오면서 다양한 그림을 그려온 이다. 그리고 그러한 그림들이 SNS나 페이스 북, 온라인상에서 수많은 팬들의 호응을 받아 현재에 이른 작가/시각이미지생산자다. 이와 같은 작가의 등장, 작품의 소통방식, 관람객 층의 형성, 작품의 소비 양태, 미술시장의 판도 변화는 이전과 매우 달라진 상황이다. 기존 미술계의 구조와 경계가 붕괴되고 미술품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이전과는 달라진 지점에서 모종의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콰야의 존재감은 이런 변화 양상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콰야는 밑칠 하지 않은 캔버스에 직접 붓질 혹은 오일 파스텔을 이용해 그림을 그린다. 작가는 순간의 감정을 그림에 담는 것을 매우 중시하는 것 같다. 가능한 자신의 생생한 감정을 쌓아올리고 보다 즉흥적이고 직관적으로, 감정에 솔직해지기 위해 수정의 과정이 없이 곧바로 그리고 칠해나가는 편이다. 오일 파스텔은 낭창거리는 붓과 신체에 부착된 손과는 다른 어느 지점에서 조율된다. 본능적인 그리기, 마음과 정신 안에서 부유하는 다양한 이미지를 곧바로 기술하는데 편한 도구성, 그리기와 쓰기가 한 장소에서, 한 도구 안에서 이루어지는 선에서 콰야의 작업이 전개되는 편이다. 어린 시절 익숙하게 다루었던 크레용/크레파스와 유사한 이 오일 파스텔은 캔버스 표면에 직접 긋고 칠하기에 매우 용이하고 다루기 쉬운 도구에 해당하는 편이다. 그래서 콰야는 종이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아무래도 오일 파스텔을 사용하기에는 출렁이는 캔버스 보다 종이나 패널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본래 그림은 이야기였고 책이었다. 문장을 가시적인 존재로 압축해놓은, 결정적인 이미지 하나로 굳혀놓은 것이 그림이다. 문학에 종속된 그림이 그것 자체로 자족적인 세계를 추구하고자 한 것이 현대미술이다. 미술에서 문학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서사를 지우고 내용을 추방한 것이다. 미술과 문학을 날카롭게 구분 짓고 미술만의 형식과 물질적 요소를 탐구한 것이 현대미술의 역사였다. 주어진 캔버스와 물감과 붓질, 색채의 물질적 속성을 확인하는 한편 그것 자체의 관계를 모색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로인해 사라진 무수한 이야기와 개인적인 감정 등은 화면 바깥에서 부유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관객 또한 그림에서 소외되었다. 모더니즘의 역사가 쇠퇴한 이후 동시대미술에서 다시 서사와 감정, 낭만 등은 화면 안으로 부단히 스며들고 있다.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오늘날 회화는 다양한 개인의 이야기, 고유한 자신의 내면과 정신을 반영하는 거울의 역할을 하는 한편 여러 형상과 표현어법이 들판의 꽃처럼 피어나고 있다. 문제는 여전히 회화로서의 맛, 작품의 질, 내용의 고유성 등에 있을 것이다. 

 

콰야는 자신의 일상에서 문득, 그려낼 여러 내용을 길어 올린다. 그는 유년의, 동심의 추억을 연상시키거나 젊은 남녀의 연정을 떠올리는 이야기를 또한 풀어낸다. 그림은 모두 문학적인 제목을 달고 있다. 제목 자체가 시구 같고 짧은 문장을 거느리고 있다. 이 서사적인 그림은 그만큼 관객과의 소통에서 용이하고 감상의 통로를 매끄럽게 만들어준다. 동시에 익숙한 이야기 안에서 머무는 취향, 관습화된 지각에 순응하는 것과의 문제를 생각해보게 한다.     

그림 속에는 머리와 귀, 손이 유난히 큰 아이가 빈번하게 등장한다. 가슴에는 커다란 책을 안고 있다. 아이들은 기울어진 액틀/창밖의 별과 달을 바라본다. 턱을 손을 얹고 상념에 잠긴다. 작업실에서 함께 하는 커다란 고양이도 출현한다. 스탠드 조명 아래 술도 한 잔하고 친구와 대화도 하고 남녀가 데이트를 하는가 하면 작은 화분에 꽃들이 사람의 얼굴 크기로 피어있기도 하다. 모두가 소소하고 비근한 일상의 소재이고 장면들이자 작가에 의해 추억화 된, 무의식적으로 출현한 이미지들이다. 그리고 이를 즉흥적으로 화면에 풀어낸다. 급박한 붓질은 순간의 감정을 실어 나르고 색채들은 몽상적인, 정서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면서 연출된다. 두리뭉실한 처리와 부드러운 색, 묘사가 아니라 짧게 끊어 치는 터치로 마감한 부위들, 자신의 느낌을 얹혀놓는다는 식으로 붓질을 칠해 올리는 시도 등으로 이루어진 이 그림은 무리 없이 편안하다. 

작가는 작품의 내용과 기술적인 측면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다가 근래에는 보다 힘을 빼고 그리면서 자신의 전달하고자 하는 부분에 보다 더 방점을 두고자 했다는 의도를 내비쳤던 것 같다. 그림에서의 소통의 힘을 중시하는 것 같다. 콰야는 상당히 감성적이고 낭만적인 이야기를 담아내는, 이야기 그림을 만드는 힘이 있다. 문제는 그 이야기가 얼마나 조형적으로 단단한, 유니크한 회화적 맛을 거느리면서 출현하느냐 하는 점이다. 근작에서 그는 부분적으로 부드러운 파스텔 톤으로 이루어진 농밀한 표면의 질감, 그리고 그가 그리는 여러 형태들을 보다 완숙한 도상화로 처리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책을 들고 있는 어린아이의 도상 등에서는 매력적인 부분을 완성도 있게 밀어내고 있다. 그런 맛이 전반적으로 한층 더 깊어지느냐 하는 것이 문제일 것이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