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won Hwang
11
November
Dates : November 6 - 20, 2019
Opening Reception : November 9, 2019
Exhibition Venue : 2GIL29 GALLERY
Opening Hours : 10 am- 6:30 pm
Tuesday to Saturday (closed on Mondays & Sundays)
Sungwon Hwang
The Body as It Reacts to the Light of the World
Youngtaek Park (Kyonggi University Professor, Art Critic)
Photography is to focus on given objects. It is to fix one’s eyes on the subject of photography or to make eye contact with a given subject or object. It is to observe and gaze at already intuitively existing objects based on the gaze of the subject who is conscious of being looked at and the work of thought that grasps it conceptually. Traditional Western representations also derived from an eye to observe and gaze at the world in the same context. The eye of a camera and a man cannot be seen as working in the same context and the camera’s lens inevitably works in the distance to gauge given objects. It is hard to take photographs without being conscious of something. It is impossible to produce photographs without objects just as it is difficult to discuss photography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eye of the subject.
Sungwon Hwang’s pictures are in a bit of a different context. She presses the shutter when she is unconscious of what she sees or when she is in a state in which she is trying to be unconscious of it. These images were taken as she was walking and carrying her camera in her hands with the lens facing up. The pictures seem to snatch outside scenes from indoors. They were not taken by gazing at specific objects with her eye close to the lens; they were taken at random in a somewhat vague state when she was not aware of what she was seeing. They depict scenes that were inevitably captured in a state in which she could not refer to or gaze at the outside world.
These photographs were taken outside on a street near her home and in her apartment’s garden. The scene featuring an apartment was photographed at dawn while the other pictures were mostly taken at sunset. They captured blocks of time when there was a certain degree of darkness or when light was shining through from somewhere, not in broad daylight. The artist states that periods of time enable her photography to capture light and shaking forms in a natural way.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at specific times also brings about different color senses. In the end, she manages to scoop up the world with light, color, and temperature.
The artist spends time inside and around her house. She looks at an exterior scene with indifference and captures a specific scene between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The apartment opposite her, the sky she looks at while lying down, and even the road lined with trees and the world around the park nearby her house come into sight. The heavens are the first thing to come into view when she opens her eyes in her room, and they have a different appearance every day. Sungwon Hwang has captured the heavens as if documenting it. Her photographs are scenes from every day and every hour, proving that she is alive.
As she passes time in the limited area she lives in, the artist slowly pushes her body into that world. She also generates a state in which scenes around her accidentally and unexpectedly appear as she walks with her camera. This world is one where she makes contact with things and experiences them with her own body, but it is perhaps not easy to sense this world in its entirety due to her being in physical pain. She is known to be suffering from severe pain due to an incurable disease called ankylosing spondylitis. The physical condition she faces—on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her to sit or stand up due to pain throughout her entire body and properly regulate her body temperature—leads her to ponder such a state in her works. Accordingly, she continues to capture a specific object she comes into contact with in this limited space and displays images that reflect the state of her body caused by pain.
Instead of looking at objects with a specific purpose, her work resorts in her unconsciously giving herself to the scenes that penetrate her body and the objects she cannot grasp entirely with her consciousness and senses. This enables her to temporarily forget the pain. It also helps her to yield to her surrounding scenes without aiming at any specific object. It allows her to be bathed with the light from the world, being soothed within it.
Her pictures are tinged with specific hues and severe distortions and vehement movements bring about abstract patterns and line streams. Those factors arouse ambiguousness or vagueness in lieu of vividness or clearness. This way of making images uncatchable is also “a way of making them have the properties of an apparition”. The subjects are photographed by shaking her camera intentionally. The scene around her comes into either the camera’s lens or her own body along with the movement of her body.
An act of shaking images is an act of erasing images or “an act of rendering slashes on images”. It means doubting accuracy, clearness, vividness, truth, and representation. It is also her desire to shatter order on the surface of the world or to view what are behind it. Thus, object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the eye or the camera’s lens sees come into sight all of a sudden. Her photographs that melt or shatter solidness, accuracy or firmness in realities are reminiscent of abstract paintings full of only colors, light, and innumerable lines. They are abundant with the taste of material properties engendered by crushed, stained marks, reduced to lights, colors, and lines. Perhaps, the artist seems to create pictures full of pictorial emotions in the present condition in which she cannot paint in her entirety.
The artist uses photographic devices to produce photographs that look like paintings. Her images fluctuat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object and the non-object, being and non-being, light and darkness, and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They are indexes of the external world but are ultimately portraits of the world she sees and captures with the state of her body or her senses. They shake in indispensable connections between that world and her body. Included in her photographs are a world that repeats in time, me who can never be separated from that world, and the subject that is a recurring continuance in time. The reaction of an individual’s body that both sees the world and captures the world outside the body in pain is captured in photographs.
Sungwon Hwang 物我一體 : Landscape, archival pigment print, 90x60cm, 2019
황성원 - 세상의 빛에 반응하는 신체
박영택 (경기대 교수, 미술평론가)
사진은 주어진 대상에 렌즈를 갖다대는 일이다. 피사체에 시선을 고정시키는 일, 주어진 객체/대상에 주체의 눈을 맞추는 일이다. 이미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대상, 오브제를 관찰하고 응시하는 일인데 이는 전적으로 그것을 바라보고 있음을 의식하는 주체의 시선, 그리고 이를 개념적으로 파악하는 사유의 작동을 전제하는 일이다. 서구의 전통적인 재현회화 역시 동일한 맥락에서 세계를 관찰하고 응시하는 시선에서 나온다. 카메라의 시선과 인간의 시선이 반드시 같은 맥락에서 작동한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카메라 렌즈는 부득불 주어진 대상을 가늠하는 시선의 거리에서 가능할 수밖에 없다. 무엇을 의식하지 않고는 찍기가 어려운 것이다. 대상 없는 사진은 가능하지 않고 그것을 응시하는 주체의 시선을 빼고는 사진을 논하기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황성원의 이 사진은 조금 다른 결에서 흔들린다. 작가는 가능한 자신이 무엇을 보고 있는지 의식하지 않는 상태, 의식하지 않으려는 상황에서 셔터를 눌렀다. 캐논400D 단렌즈로 작업했는데, 카메라를 양손으로 들고 렌즈를 위로 향하게 한 후 걸어 다니면서 촬영한 것들이고 집안에서 바깥 풍경을 무의식적으로 잡아챈 듯한 이미지들이다. 작가가 렌즈에 시선을 밀착시켜 특정 대상을 응시하면서 찍은 것이 아니라 무엇을 보고 있는지 다소 알 수 없는 막연한 상태 속에서 무작위로 걸려드는 것을 촬영한 셈이다. 외부세계를 온전히 지시하거나 응시할 수없는 상태에서 불가피하게 포착되는 얼굴, 풍경이다.
실내에서 내다보이는 바깥 풍경과 집근처의 가로수 길과 아파트 정원에서 찍은 사진들이라고 한다. 아파트가 보이는 풍경은 새벽시간에, 그리고 나머지는 주로 해질녘에 작업했다. 환한 대낮의 시간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어둠을 간직하고 있고 어디선가 빛이 스며드는 시간대를 포착하고 있는 셈이다. 작가에 의하면 그 시간대가 사진에 빛이 나타나는가 하면 형태의 흔들림 또한 자연스럽게 들어온다고 말한다. 그리고 특정 시간에 따른 온도의 차이는 다른 색감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결국 작가는 세계를 빛과 색채, 온도로 떠내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자신의 실내와 집 주변에서 시간을 보낸다. 방안에서 외부 풍경을 무심히 바라보거나 아득해지는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서 얼핏 특정 풍경의 한 자락을 잡는다. 실내에 누워서 바라보는 건너편 아파트나 하늘, 그리고 집 주변의 가로수 길과 공원을 거닐면서 접한 주변 세계가 설핏 파고든다. 방에서 눈을 뜨면 우선적으로 보이는 게 하늘이고 그 하늘은 결코 동일할 수 없어서 매일 마다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작가는 그 하늘을 나날이 기록하듯 담았다. 자신의 하루, 매 시간을 수집, 기록하고 있는 장면이자 살아있음을 방증하는 삶의 채록에 해당하는 사진이다.
자신이 생활하는 한정되고 특정한 공간에서, 그 제한된 반경 내에서 시간을 보내는 작가는 천천히 그 세계 안으로, 몸을 밀고 나간다. 여기서 작가는 천천히 카메라를 들고 걸어 다니면서 주변 풍경이 우연히, 예측할 수 없이 들어오는 조건을 만들기도 한다. 이 세계는 자신의 몸으로 만나고 경험하는 곳인데 육체적 고통/통증으로 인해 그 세계를 온전히 감각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던 것 같다. 작가는 ‘강직성 척추염’이란 희귀성 난치병을 잃고 있어서 극심한 통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온몸에 통증이 있어서 앉고 서는 게 힘이 들고 복합적으로 체온조절이 잘 되지 않는 신체적 조건은 불가피하게 그런 상황에 따른 작업을 고려하게 해주었다는 생각이다. 따라서 작가는 제한된 공간에서 접하는 특정 대상을 반복해서 담아내는 한편 통증에 따른 몸의 상태가 체험하는 상을 보여준다.
의식적으로 바라보거나 특정 목적을 갖고 대상을 응시하는 게 아니라 그저 자신의 몸으로 의식 없이 파고 드는 풍경의 단면, 혹은 내 의식과 감각으로는 온전히 파악하기 어려운 대상에 몸을 맡기는 일이다. 그것은 잠시 통증을 잊게 해주는 일이다. 아울러 시선으로 대상을 겨냥하지 않고 주변 풍경에 순응하는 일이다. 세계의 빛에 몸을 적시는 것이고 그 안에서 위안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사진은 특정 색채로 물이 들었고 빛의 파동, 심한 왜곡과 격렬한 움직임이 추상적인 무늬, 선의 흐름을 만들고 있다. 명확한 윤곽선이나 선명함을 대신해 애매함, 흔들림, 모호함을 안긴다. 이렇게 이미지를 포착 불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방법은 이른바 존재를 ‘유령의 속성을 갖도록 만드는 방법’이기도 하다. 작가가 의도적으로 카메라를 흔들어 피사체를 촬영한 것이다. 따라서 어떤 피사체가 걸려들지 쉽게 알 수는 없다. 그저 자신의 몸의 이동, 움직임과 함께 한 카메라 렌즈 속으로 주변 풍경이 미끄러진다. 자신의 몸 안으로 밀고 들어온다.
이미지가 흔들린다는 것은 일종의 이미지 지우기, ‘이미지에 빗금을 치는 행위’일 수 있다. 정확성, 명료함, 선명함, 자명함, 진리, 재현 등에 의심을 하는 것이다. 그것은 세계의 표면적 질서를 흔들거나 그 이면에 있는 것들을 보고자 하는 욕망이기도 하다. 따라서 대상을 응시하던 눈, 피사체에 정확히 가닿은 카메라 렌즈가 보았던 것과는 전혀 다른 대상이 불현듯 치고 들어온다. 현실계의 견고함과 정확성, 굳건함을 죄다 녹이고 굴절시키고 허물어지게 하는 이 사진은 오로지 색채, 흔들림, 빛, 무수한 선들의 궤적으로 가득한 추상회화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사진이 빛과 색, 선으로 환원되고 표면에는 뭉개지고 얼룩진 흔적이 만든 물성의 맛이 흥건하다. 아마도 작가는 온전히 그림을 그릴 수 없는 현재의 조건 속에서 회화적 감성으로 충만한 사진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생각이다.
작가는 사진 도구를 통해 회화와도 같은 사진을 우연히 산출하고 있다. 의식과 무의식, 대상과 비대상, 있음과 없음, 빛과 어둠, 익숙함과 낯섦 사이에서 격렬하게 요동치는 이 이미지는 외부세계의 지표(인덱스)지만 결국 자신의 몸 상태, 감각으로 바라보고 포착한 세계에 대한 초상인 셈이다. 그 세계와 자신의 몸이 일체가 되고 홀연 불가분의 관계를 맺으면서 흔들리는 것이다. 시간 속에서 반복을 거듭하는 세계와 그 세계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나. 시간 속에서 반복되는 지속 자체일 뿐인 주체가 거기 들어와 있다. 그 주체가 바라보는 세계, 몸의 바깥에 자리한 세계를 통증 속에서 포착하는 한 개별 신체의 반응이 사진 안으로 수렴되고 있다.
Sungwon Hwang 物我一體 : Landscape, archival pigment print, 34x51cm, 2019
SUNG WON HWANG
EDUCATION
1999 MF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Technology, Applied Painting
1996 BFA,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Technology, Applied Painting
SOLO EXHIBITIONS
2020 THE SELF, 2GIL29 GALLERY, Seoul
2019 The Body as It Reacts to the Light of the World, 2GIL29 Gallery, Seoul
2018 On the Road, L'ESPACE71, Seoul
1997 jjikgi, Gallery Boda, Seoul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20 Island of Sense, Shinhan Gallery, Seoul
2018 <Flowing Flow>, Gangnam Museum of Art, Seoul – Organized by Good Morning Studio
Art Cube, Geumgang Nature Art Center, Gongju
PLAS 2018, COEX, Seoul
MAYFLY XV, Alternative Art Space Sargoji, Seoul
2017 Close the Year, Gallery Mu N Heim, Seoul
At Ikseon-dong, Tteul-an, Seoul
2016 It-da, Ieum Center, Seoul
2015 Seven Perspectives: Improvisation and Sensibility, Alpha Gallery, Seoul
Yesulbaragi, Insadong Ssamzigil Step Gallery, Seoul
2014 Make a wish, Brown Hands Showroom & Cafe, Seoul
2004 Pretended Illnesses++Fun Sharing(selected), Space Beam, Incheon
2001 Funny interpretations About Pains(selected), Chohung Gallery, Cheongju
2000 HeadacheㆍToothacheㆍMenstrual Pain, Hanbit Gallery, Icheon
Strangers inside of me(Org.), Incheon Culture & Art Center, Incheon
1999 Conversation(Org.), Incheon Culture & Art Center, Incheon
1998 One Painting per a House(Org.), Su Gallery, Seoul
1997 Continuous Sound, Gallery Boda, Seoul
Mixed Media(Org.), Chohyung Gallery, Seoul
Korean Modern Art to the World, Munwha-ilbo Gallery, Seoul
1996 S.N.P Print, Deokwon Gallery, Seoul
Continuous Sound, Samjung Art Space, Seoul
1994 Hopes for the Y2K Korean Art - 21C Heungbu, Nolbu, Smile Exhibit, Doll Art Town, Seoul
RESIDENCY
2018 9th Term Artist in Seoul Art Space Jamsil, SFAC, Seoul
AWARDS AND HONORS
2020-18 Grant for Disability Arts & Culture Support(Fostering Creative Activities), Seoul
2019 A new artist of spaceD9 2019, Seoul
Sungwon Hwang Untitled 2020 Archival Pigment Print 34 x 51cm
황성원
1972 서울 출생
학력
199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조형예술과 석사, 서울
1996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학과 학사, 서울
개인전
2020 나 - 길 빛 관계, 이길이구 갤러리, 서울
2019 세상의 빛에 반응하는 신체, 이길이구 갤러리, 서울
2018 On the Road, 레스빠스71, 서울
1997 찍기, 갤러리 보다, 서울
단체전
2020 감각의 섬, 신한갤러리, 서울
2018 굿모닝스튜디오 기획전 흐르는 흐름, 강남미술관, 서울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자연미술 큐브展, 금강자연미술센터, 공주
조형아트서울 2018, COEX, 서울
MAYFLY XV, 살곶이 대안공간, 서울
2017 Close the Year, 뮤앤하임 갤러리, 서울
At 익선동, 뜰안, 서울
2016 잇다, 이음센터, 서울
2015 일곱개의 시선: 즉흥과 감성사이, 알파갤러리, 서울
예술바라기, 인사동 쌈지길 계단갤러리, 서울
2014 소원을 빌다, 브라운핸즈 쇼룸&카페, 서울
2004 꾀병++즐거운 공유, 스페이스 빔 기획공모, 인천
2001 통증에 관한 즐거운 해석, 조흥갤러리 기획공모, 청주
2000 두통ㆍ치통ㆍ생리통, 한빛 전시관, 이천
인천 포스트 기획전 내 안의 타자, 인천문화예술회관, 인천
1999 인천 포스트 기획전 대화, 인천문화예술회관, 인천
1998 수화랑 기획전 한집 한 그림 걸기, 수화랑, 서울
1997 계속되는 소리, 갤러리 보다, 서울
조형갤러리 기획 Mixed Media, 조형갤러리, 서울
세계를 향한 현대미술전, 문화일보 갤러리, 서울
1996 S.N.P판화전, 덕원미술관, 서울
계속되는 소리, 삼정아트스페이스, 서울
1994 2000년 한국미술의 기대-21C흥부, 놀부 웃음전, 도올아트타운, 서울
레지던시
2018 잠실창작스튜디오 9기 입주작가, 서울문화재단, 서울
수상경력
2020-18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장애인문화예술지원사업 창작활성화지원, 서울
2019 spaceD9 2019 신진작가, 서울
Sungwon Hwang Untitled 2020 Archival Pigment Print 66.67 x 1.100 c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