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unho Choi

12

December

Dates : 12/14 - 28

Open Reception : December 14, 5pm

Opening Hours :  11am- 6pm or by appointment

                                 Tuesdays to Saturdays (closed on Sundays, Mondays and national holidays)

                                  

 

San Su

2Gil29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San Su, a solo exhibition of paintings by Sunho Choi (b.1957). Sunho Choi’s works graft sentiments of East onto Western form of painting. Sunho Choi, San Su, will be on view December 14, 2017 through December 28, 2017 at 2GIL29 Gallery. An opening reception will be held on Thursday, December 14, 2017 from 5-8 pm.

After studying both bachelor and masters in painting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went to New York University where he presented his own unique and intellectual world of works. After his education he went back to Korea and taught students at SADI (Samsung Art and Design Institute)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His works are collected by leading museums in New York, Chicago, Germany, Japan, Netherlands, and etc.

 San Su, Sunho Choi’s solo exhibition, is a soliloquy of the artist who transcends age and not be swayed by the time. Also, in this exhibition, it is a great opportunity to look at the artist’s working space and his private collection of Chusa - Kim, Junghee, Cezanne, and Lamp of Bauhaus, and etc, which became the soil of his intellectual tastes, and rooted in the works of Sunho Choi who has constantly explored artistic life and ideal beauty.

 

예술가(藝術家)의 길

       

최선호

 

나는 에베레스트(EVEREST) 산이 좋다. 누구에게도 쉽게 자신을 내어주지 않는 위대한 진실이 그 산에 있다. 위대하기에 고독한 산, 나는 그 산을 그린다. 나는 대학에서 송원명청(宋元明淸)의 수묵화와 조선의 산수화에 푹 빠져 동양화의 길을 한번 끝까지 가 보겠다고 다짐했다. 열심히 모사하고 어설프게 사생하던 당시의 전통수묵화를 30년이 지나 다시 꺼내 보니 섬약(纖弱)한 골기에 기운이 쭉 빠지고 장식적 설명만 가득하다. 자연의 근본을 이해하기에는 너무 어렸고, 학문도 부족했다. 더구나 대자연의 위대함을 손안의 한 뼘 화폭으로 담아내는 묘법(描法)은 누구도 가르쳐 주지 않았다. 그저, 시간이 가고, 그냥 열심히 그리다 보면 이해되고 그려지는 줄 알았다. 하지만 수묵화는 그리면 그릴수록 모르는 세상이었고, 그릴수록 어려운 학문이었다. 그때는 추사 김정희 (秋史 金正喜)(1786~1856)의 <세한도(歲寒圖)>에 비스듬히 서있는 앙상한 거친 소나무가 왜 아름다운지, 겸재 정선(謙齋 鄭敾)(1676~1759)의 <금강산도(金剛全圖)> 서릿발 같은 준법(峻法)을 어떻게 그릴 수 있는지 알 수 없었다. 추사가 그린 정신의 세계는 눈으로 보아도 보이지 않았고, 겸제의 선연한 골기는 설명을 아무리 들어도 다시 설명할 수 없었다. 대학 마치고 몸담은 미술관 연구원을 그만두고 현대미술공부를 다시 시작하였다. 현대미술의 세상도 여전히 알 수 없었다. 세월이 한참 지나 그림과 생활로 많은 시간을 보낸 다음에야 비로소 추사와 겸제의 명작은 남다른 시각과 남다르게 살아간 인간적 고뇌가 만들어낸 피눈물의 산물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는 색과 면으로 된 미니멀리즘 조형(造形)으로 한국의 미감을 구현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이러한 형식미는 모더니즘이 추구하는 미의식의 단면(斷面)이기도 하여 나는 그 작업에 몰두했다. 나의 예술철학(藝術哲學)은 무엇인지 고민도 하였고, 그것을 어떻게 화면에 구현할 수 있을까도 고심도 하였다. 회화의 경계를 넘나드는 점(点)· 선(線)· 면(面) 그리고 색(色)은 전통수묵화(傳統水墨畵)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는 출구였다. 나는 기하학적 단순함과 절제된 화면분할(畵面分割)의 아름다움에 지극(至極)했다. 조선색의 순수와 정감도 화면에 한껏 담아보았다.

오늘날 그림세상은 더욱 단단해지고 예술은 더욱 영특(英特)해졌다. 아트는 진보(進步)한다. 나는 진보한 예술을 따라잡을 수 없다. 따라잡는다고 하여도 그것 역시 구태(舊態)다. 구상(具象)에서 추상(抽象)으로, 투명에서 애매모호(曖昧模糊)함으로, 순수에서 논리로 나아가는 예술세상의 이치가 만만치 않다. 아니, 죽어라고 따라가 보지만 언제나 그 자리다. 나는 내가 세상과 쉽게 어울리지 못하는 외롭고 어설픈, 부족한 예술가는 아닌지 문득 생각해 본다.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곧 자신의 고독(孤獨)과 자신의 외로움으로 버텨내야 한다는 것을 안다. 그래서 외로워도 참아야 하고, 힘들어도 견디어야 한다. 어렵고 힘들어도 죽을 때까지 붓을 놓지 않고 그림을 그릴 수 만 있다면 행복한 화가다. 오늘의 ‘급진(急進)‘은 내일의 ’고전(古典)‘이다. 나는 내 마음대로 그림 그리고, 내 방식으로 살 것이다.

에베레스트는 추상(抽象)이다. 그림의 어디가 에베레스트 정상(頂上)이고 어디가 히말라야의 연봉(連峰)인지 개의(介意)치 않는다. 에베레스트라고 보면 에베레스트요, 금강산(金剛山)이라고 보면 금강산이다.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히말라야가 갖고 있는 원대한 에너지를 내 방식으로 풀어낸 그림이다. 나는 서구(西歐)의 원근법(遠近法)이 아닌 동양(東洋)의 삼원법(三遠法)으로, 유화(油畵)의 덧칠이 아닌 한지(韓紙)의 일획(一劃)으로, 수려(秀麗)한 자태가 아닌 성난 기상(氣象)으로, 타인의 눈이 아닌 내 눈으로, 거친 자유(自由)와 순수(純粹)의 열정(熱情)으로 에베레스트를 그린다. 잘 그린 것과 멋있는 것과 아름다운 것에 대한 연민(憐憫)을 과감하게 버릴 때, 비로소 그림이 그림다워질 것이다.

다시, 기하추상에서 자연추상으로, 다색에서 단색으로 선행한다. 나는 앞으로 추사나 겸제와는 사뭇 다른 21세기 새로운 산수화를 그릴 것이다. 산수(山水)! 거꾸로 그린 추상이나 반듯한 추상이라도 내가 그린 그림은 모두 내 그림이다. 간절한 노력과 진정(眞正)한 정신(精神)이 필요하다. 몇 점 그림을 그리고 종일 답답하게 하루가 지나간다. 예술가의 길, 고난(苦難)의 그 길을 끝까지 가 보자.  

Artist’s Way

Writing by Sunho Choi

 

I like Mount Everest. There is a great truth on the mountain that does not yield easily to anyone. Lonely to be great, I paint the mountain I made a resolution to go all the way to the oriental painting when I was in university where I was deeply into Song-Won-Ming-Qing’s Ink wash painting and the landscap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After 30years, I looked at the old paintings of the time that I was trying hard to mimic and sketch. It was full of decorative explanation and fragile. I was too young and lacked study to fully understand the foundation of nature. Moreover, no one taught me the excellent means of paint the greatness of Mother Nature in a canvas in the palm of a hand. I just thought it will come understandable and able to paint after years of practices and time. However, the more I ink paint, the more difficult it became; it was a strange world and not easy to study. At that time, I wondered why the angled, rough and boniness pine tree in Chusa - Gim, Jeong-hui <Se-Han-Do> is so beautiful and how to paint the relentless ‘Jun-Beob’ (Technique in oriental painting, texture stroke technique) when painting the rocks of mountain) in GyeomJae - Jeong-Seon’s <Gum-Gang-San-Do>. The spiritual world painted by Chusa was not even visible with eyes and GyeomJae’s vivid solidity cannot be explained no matter how many times it was construed. I stopped working as a researcher at the museum where I started right after college and started study contemporary art again. Still, a world of contemporary art was a mystery. It was only after spending a lot of time in living and painting, the great masterpieces of Chusa and GyeomJae was a fruit of tears of blood from the human anguish of theirs who lived with unique perspective and life different from others. I tried hard to realize a sense of the beauty of Korea with minimal formative art filled with color and plane. The Beauty of form is an aspect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modernism and I devoted myself to work on it. While working, I painstakingly thought how I could implement it on a canvas, and thought of what my philosophy of art is. Point, line, plane, and color, which cross the border of painting, are the exit from the traditional ink painting towards the new world. I was at the utmost beauty of geometric simplicity and restricted division of canvas. I wholeheartedly put the pureness and warmth in colors of Joseon on canvas. 

 

Today, the world of painting became firm and art became more and more intelligent. Art progresses. I cannot catch up with the advanced art. Even if I could, it is a convention. From formal to abstract, from transparency to ambiguity, from the pure to the logic, the world of art is tough. I chase for it but I am still in the same place. (It is like a mountain of Sisyphus). The thought that I am a lonely, wacky, scarce artist who does not fit easily with the world hits on me. I am aware of the fact that I, as a painter, have to hold on to my loneliness and my own solitude. So I have to suffer loneliness and even endure even harder. A happy painter can paint without releasing the brush until one is dead. Today’s ‘rapid progress’ is ‘classics’ of tomorrow. I live my way and paint my way. Everest is abstract. I am indifferent to where is the top of the Everest and where is the Himalayan mountain range. If I see it as Mount Everest, It is the Everest. If it is seen as Mount Kumgang, it is the Kumgang. It is a painting of my way of interpreting the grand energy of the Himalayas, which holds up the sky. Not with the Western perspective, but with ‘Three distances’ of East; unlike paint over of oil painting, but with one stroke of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Not like a graceful figure, but like the furious spirit;  Not with other people’s eyes, but with my own eyes, wild freedom, and pure zest I paint the Everest. When you resolutely throw away sympathy for the good, well and beauty, at last, a painting will become a painting. Again, precede from geometric abstraction to natural abstraction, multicolor to monochromatic. I will paint 21st century’s landscape painting quite differently from Chusa and GyeomJae. SanSu! Even if it is an upside-down, abstract painting or straight, it is my painting. It needs earnest effort and sincere spirit. After a couple of paintings, a day feels heavy all day. Artist’s way, I am on my way to the end of the painful path.

 

2017. 11.

 

bottom of page